■□문제 해결의 기본 개념 1)문제의 의미 ▶문제의 구분 -개방형 문제: 정확히 정의되지 않아 이해하기 어렵고 애매하여 하나의 정답을 찾기 어려운 경우 -폐쇄형 문제: 분석적 방법을 이용하여 이미 정해진 절차에 따라 해답을 찾을 수 있게 정의가 잘 된 문제 ▶문제 해결 능력 공식 -문제 해결 능력 = 의사소통능력 X 사고능력 X 절차와 도구 활용 능력 X 실행력 2)문제 해결과 의사소통 ▶의사소통의 중요성 -어떤 조직이 공동의 문제를 갖고 있는 경우, 의사소통을 통해 이해하고 노력하는 것은 문제해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며 특히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 -의사소통이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고정관념으로부터 벗어나 서로가 다르다는 사실과 상대의 가치를 인정하는 개방적인 태도를 갖는 것이 중요함 3)문제 해결과 사고 과정 ▶문제 해결과 사고 과정의 관계 -문제 해결과 사고 과정은 서로 깊은 연관성이 있으며, 생각하는 능력은 문제 해결에 있어서 결정적 역할을 담당함 ▶문제 해결 과정과 연관된 사고 과정 -인식, 관심, 기억, 분류, 학습, 동기, 판단, 추론, 창의성 4)문제 해결을 위한 기능 ▶문제 해결 절차(로드맵)*를 구성하는 기능 -문제 인식: 무엇인가 문제가 있다는 것을 감지하고 문제와 기회를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과정 -문제 정의: 문제의 본질을 명확히 하고 문제의 영향과 심각성을 파악하며,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발견된 문제를 정확하게 규정하는 것 -연구, 진단, 대안의 도출, 설계, 계획, 예측, 평가, 실행 ■□문제 유형의 분류 1)문제 해결의 동기에 의한 분류 ▶발생형 문제: 기업이 원하는 목표와 실제 성과간의 차이가 발생해서 이 차이를 좁히고자 하는 경우 ▶설정형 문제: 현재 목표와 실제 성과 사이에 차이는 없지만 현재에 만족하지 않고 더 높은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고자 하는 경우 ▶잠재형 문제: 현재 목표와 실제 성과 사이에 차이는 없지만 미래에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는 경우 2)문제 발생 영역에 따른 분류 -전략수립, 마케팅, 생산, 회계 및 재무, 인사 및 조직, 구매, 정보시스템, 개발 등과 같은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어 다양한 영역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-문제가 여러 영역에 걸쳐서 발생하는 경우 여러 영역의 관련 전문가를 모아서 다기능 팀을 구성하여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함 3)기업의 업무 수준에 따른 분류 ▶조직 수준 -미래 불확실성에 대비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계획이나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발생 -임원 또는 최고경영자가 직접 문제를 핵심 전략 과제로 설정하여 해결 ▶프로세스 수준 -기본적인 기업의 관리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 -중간 관리자 중심으로 관련자들이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여 해결 ▶직무수준 -기본적인 운영 활동과 통제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 -현업 실무자와 하위 관리자를 통해 해결 4)일반화 정도에 따른 분류 ▶일반적 문제 -정의: 직원 실적 관리, 주문 처리 등과 같이 반복적이고 일상적인 업무 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 -특징: 해결 방안을 어느 정도 정형화 할 수 있는 유형의 문제를 의미 ▶예외적 문제 -정의: 기상 악화로 인한 운송 문제 등과 같이 드물게 일어나는 문제 -특징: 해결 방안을 정형화하기 어려움 ■□문제 해결이 어려운 이유 ▶문화*에 기인한 제약: 조직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기 못하는 경우 문제 해결이 어렵게 됨 ▶조직*에 기인한 제약: 조직의 배경과 조직 구조에 따라 문제 해결 방법이 차이가 생길 수 있음 ▶경영자에 기인한 제약: 리더십의 형태는 다양하지만, 바람직한 리더의 유형은 문제의 성격 따라 달라지므로 리더십의 유형이 문제 해결의 제약이 될 수 있음 ▶개인의 성향에 기인한 제약: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개인의 태도나 성격이 문제 해결의 제약이 될 수 있음 ■문제 해결 과정에서 사고방식의 결합 ▶사고의 확산과 수렴 -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사고를 확산*하는 능력과 함께 사고를 수렴*하는 능력이 중요 -사고의 확산: 다양한 아이디어와 대안을 만들어 낼 때 필요한 개방적 접근 방법인 창의적 사고를 의미 -수렴: 하나의 올바른 해결책을 찾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 일관성 있는 접근 방법인 비판적 사고를 의미 ▶통찰력과 분석력 -문제의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황을 잘 볼 수 있는 통찰력*이 필요함 -복잡한 문제와 상황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분석력*이 중요함 -통찰력과 분석력이 제?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논리적 사고*, 시스템 사고*, 통계적 사고*가 필요 |
|
|
핵심 키워드 | 해설 |
|
|
문제 해결을 위해 기능들의 순서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 |
|
|
|
|
구성원들이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관습 혹은 전통적인 방식, 기업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문제 해결 순서, 해결 도구, 행위 등을 포함 |
|
|
|
|
그 안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, 또한 그 안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의미 |
|
|
|
|
상상력을 이용해서 양적으로 많은 아이디어와 다양한 대안을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함 |
|
|
|
|
비판과 평가 과정을 통하여 옳은 것을 질적으로 선별하는 것을 말함 |
|
|
|
|
많은 정보의 흐름 속에서 대부분의 사람이 보지 못한 것을 볼 수 있는 능력 |
|
|
|
|
전체를 개별적인 부분으로 분리하거나 분해하여 각각의 특성, 기능, 상화 관계 등을 조사하는 것 |
|
|
|
|
우리의 사고를 명확하게 해주며 연역과 귀납을 바탕으로 한 논증을 가능하게 해주고, 비판적 사고의 근간을 이룸 |
|
|
|
|
구성 요소의 인과관계와 순환 구조의 피드백을 이해하여 문제 발생의 중요 원인 중의 하나인 복잡성을 이해할 수 있게 함 |
|
|
|
|
문제 발생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인 변동을 이해할 수 있게 해주고, 데이터에 기반을 둔 객관적인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하여 불확실성과 모호성을 극복하게 해줌 |
|
|
|
■□비판적 사고 1)평가 항목 ▶문제 해결을 위한 사고 과정에서 주목해야 할 항목: 문제, 정보, 개념, 목적, 관점, 문제의 맥락, 전제 조건과 가정, 해결책, 결과 2)평가 기준 ▶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기준: 중요성, 정확성, 충분함, 명확성, 정당성 3)주장에 대한 판단 ▶어떤 주장에 대한 평가를 하고 판단을 하기 위한 접근 방법 ①주장을 명확히 적는다 ②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수집하고 증거의 정당성을 평가한다. ③다른 설명이나 가정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고 그것의 정당성을 평가한다. ■□창의적 사고 1)창의적 사고 활성화 ▶창의적 사고의 핵심 -기능 고착*에서 벗어나야 함 -틀을 깨고 나오는 패러다임*의 전환이 필요함 ▶창의적 사고의 4단계(앙리 푸앵카레) -몰두 단계 → 구체화 단계 → 계발 단계 → 실행 단계 2) 창의적 사고의 특징과 장애 요인 ▶창의적 사람들의 특징 -스스로를 창의적이라고 믿는다 -결과에 대한 개방적이기 위해 위험을 기꺼이 감수한다. ▶창의적 사고의 장애 요인 -쓸데없이 바보가 될 것 같다는 두려움 -항상 똑똑하고 옳아야 한다는 강박관념 3)아이디어 도출 방법 ▶브레인스토밍 -4가지 원칙: ①비판 자제, ②자유로운 사고 환영, ③양이 많아야 함, ④조합과 개선을 추구 -진행 순서: 준비 과정 → 아이디어 도출과정(자유분방식/라운드로빈) → 평가과정 ▶속성 열거법: 어떤 대상의 성질이나 속성을 최대한 많이 나열한 뒤 대상에 대해 개선, 변형, 대치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기법 ▶가정에의 도전: 주어진 문제에 대한 개선 기회를 막는 장애물을 제거하고 장애물을 기회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모색할 때 사용 ▶SCAMPER 기법 -대체(substitute), 결합(combine), 적용(adapt), 수정(modify), 다른 용도 사용(put to other use), 제거(eliminate), 재배치(rearrange)의 첫 문자를 혼합 -체계적인 질문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는 기법 ▶마인드맵: 자유로운 사고의 연상 작용을 통해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시각적으로 도식화하여 다른 아이디어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방법 ▶여섯 색깔 모자: 모자를 쓰고 그 모자가 의미하는 특정의 사고만 하게 함으로써 사고를 단순하게 만들고, 필요에 따라 모자를 바꾸어 써 우리가 하려는 사고의 유형을 불러 낼 수 있게 하는 기법 ■□논리적 사고 1)명료한 사고 ▶사고를 명료하게 하는 주요 요소: 정의, 분류, 조직화 ▶분류 -분류에는 구별과 등급 매김이 있음 -분류할 때 집단들의 합이 전체가 되고 집단 간에 누락과 중복이 없는 구조여야 함 ▶조직화 -복잡한 자료를 어떤 기준에 따라 명료하고 질서 있게 정리하는 것 -조직화의 기준은 자료를 통해 얻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함 ▶로직트리 -수집된 정보를 누락과 중복 없이 정리하는 데 좋은 방법 2) 논리적 사고에 기초한 원인 파악 ▶인과 논증 방법 -일치법: 어떤 결과가 발생한 여러 경우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선행하는 요인을 찾아 결과에 대한 원인으로 간주하는 방법 -차이법: 어떤 결과가 발생했을 때, 선행한 요인과 그 결과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결여된 요인을 찾아 그 결과의 원인으로 파악하는 방법 -일치와 차이 결합법: 일치법과 차이법을 결합하여 원인을 파악하는 방법 -공변법: 두 현상 사이의 변동을 바탕으로 원인을 확인하는 방법 -잉여법: 이미 알려져 있는 인과관계를 제외하고 남은 것으로부터 원인을 확인하는 방법 -Is & Is Not 기법: ‘일치와 차이 결합법’에 바탕을 두고 있으면서, 실제 현장에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할 때 많이 사용되는 기법 ▶가설 검증 과정 ①순서1: 합이 전체가 되는 질문들을 사용하여 문제의 원인을 찾는다. ②순서2: 문제의 원인을 찾은 후에는 이에 대한 가설을 세운다. ③순서3: 데이터를 수집하여 가설을 세운다. 3) 논리적 사고의 전개 방법 ①출발지점이 되는 사실을 공유한다. ②논증의 근거를 명확히 한다. ③도착 지점인 결론을 명확히 한다. ■□시스템 사고 1)시스템이란 무엇인가? ▶시스템 관련 용어 -변수(variable):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이 갖고 있는 특정의 속성 -변수 값의 변화: 시스템의 행태(behavior)가 변했다고 표현 -구조(structure):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 사이의 지속적인 관계를 의미 2)시스템* 사고 ▶정의: 시스템의 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문제 해결책을 도출하기 위한 사고방식 ▶시스템 사고의 두 가지 측면 ①시스템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측면 ②문제를 해결하여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측면 ? 시스템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과관계와 피드백 루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 3)시스템의 구조 ▶인과지도 -인과관계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기법 -인과관계를 화살표로 표시, 양의 인과관계는 화살표 끝에 ‘+’, 음의 인과관계는 ‘-‘를 표시 ▶피드백 루프* -양의 피드백 루프(+): 변화를 촉진하는 루프, 강화 피드백 ? 마이너스 화살표의 개수가 짝수 -음의 피드백 루프(- ): 변화를 억제하는 루프, 조절 피드백 ? 마이너스 화살표의 개수가 홀수 -지체(delay): 시스템 내의 각 요소들이 동시에 작동하는 것이 아니므로 시간적 경과를 거쳐 원인이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 4)시스템의 개선 ▶지렛대 원리*를 활용, 임계점을 활용, 지체를 제거 ■□통계적 사고 1)통계적 사고 ▶데이터의 지식화 -통계적 사고는 데이터의 지식화에 바탕을 두고 있음 -데이터의 지식화는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수집,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해, 분석 결과를 유용하게 활용하는 것으로 구성됨 2)통계 기법의 역할 ▶통계 기법의 활용 영역 -고객 요구 조사, 제품 설계 및 개발, 프로세스 능력 평가, 제품 수명 검사, 통계적 프로세스 관리, 측정 시스템 분석 등 -해결 과정을 그럴듯하게 보이기 위한 포장술로 전락되는 것을 주의해야 함 -잘못 오용하거나 불필요하게 남용하는 일이 없도록 유념 |
|
|
| 6차시 핵심 키워드 |
|
핵심 키워드 | 해설 |
|
|
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사실이나 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 |
|
|
|
|
어떤 것에 대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보지 않고 한 가지 면에서만 파악하려는 경향 |
|
|
|
|
|
|
한 주제에 대하여 관계되는 사람들이 모여 집단 효과를 살려 아이디어의 연쇄반응을 불러일으킴으로써 자유분방하게 아이디어를 내는 방법 |
|
|
|
|
이미 알려진 규칙이나 원리를 이용하여 특정 상황이나 사물들에 대하여 어떤 공통 특징을 갖는 개체들끼리 모아서 집단으로 나누는 것 |
|
|
|
|
상위 항목과 그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을 체계적으로 요약한 도표 |
|
|
|
|
구성요소(elements)와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말함 |
|
|
|
|
문제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변수들 사이에 존재하는 관련성 |
|
|
|
|
|
|
적은 자원을 투입해도 시스템이 커다란 역동성을 갖게 하는 변수 혹은 변수들 사이의 관계 |
|
|
|
■□합리적 의사 결정의 방해 요인 -문제가 불분명하고 명백하지 않다 -목적이 분명하지 않다 -적절한 평가 기준이 없고, 중요도에 따른 가중값을 결정할 수 없다. -모든 대안을 찾을 수 없다. -필요한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없다. -모든 해결책을 정확히 평가할 수 없다. ■□의사 결정의 오류 (1)비논리적 사고에 기인하는 오류 1)형식적 오류: 타당하지 못한 논증 형식을 갖고 있는 경우, 예) 순환 논리의 오류* 2)비형식적 오류: 내용 자체에 있는 오류 ▶언어적 오류: 언어의 애매성이나 모호성에서 발생하는 오류 ▶논거 부재의 오류: 겉보기에는 논거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논거 자체가 없는 오류 ▶논거 부적합의 오류: 논거는 있으나 주장을 뒷받침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오류 ▶논거 부실의 오류: 논거자 주장을 뒷받침하지만 논거로서 충분하지 못한 경우 (2)심리적 요인에 기인하는 오류 : ①과거 강한 인상을 받은 사건에 지나치게 영향을 받는 오류, ②초기 상황에 고착되는 오류, ③집단 사고에 기인하는 오류, ④비판 능력이 약화되는 오류, ⑤불확실성을 판단할 때 지나치게 신중한 오류, ⑥결과를 알고 난 후 그렇게 된 이유를 쉽게 결론 내리는 오류, ⑦현재 상태만을 유지하려는 오류, ⑧과거의 실수나 잘못에 집착하는 오류, ⑨인식 방법의 차이에 기인하는 오류, ⑩타인을 지나치게 의식하는 오류 (3)부적합한 자료 때문에 생기는 오류 : ①자신이 믿고 싶은 것을 뒷받침해 주는 정보만 중요하게 여기는 오류, ②표본이 모집단을 잘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, ③자료의 정의가 불분명한 경우, ④자료의 신뢰도를 간과하는 경우, ⑤일반적 사실을 일회적 증거로 반박하는 오류, ⑥특정 이슈에 따라 결론을 유도하는 경우, ⑦제한된 정보를 확대 해석하는 오류, ⑧변수들 간의 관계를 인과관계로 확대 해석하는 오류, ⑨무리한 단순화의 오류 (4)우연과 확률을 오해함으로써 생기는 오류 : ①세부사항이 많으면 사실에 가까울 것이라고 생각하는 오류, ②객관적 확률보다는 주관적 관점에 의존하는 오류, ③평균으로의 회기 현상을 잘못 이해하는 오류, ④우연과 필연을 혼돈하는 오류, ⑤우연도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오류 ■□문제 해결 절차 (1)4단계 문제 해결 절차 : 문제 인식 단계→해결책 모색 단계→해결책 선택 단계→실행 단계 (2)문제 인식 단계 1)문제의 발견 ▶발생형 문제: 문제를 이미 알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임 ▶잠재형 문제: 아직 발생하지 않은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방지하고자 노력하는 과정에 발생 ▶설정형 문제: 기업/조직의 미션*과 비전*을 이루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 발생 -설정형 문제를 파악하는 방법 : ①문제와 관련된 외부 환경의 이해: 시장, 기업, 경쟁기업 분석 : ②내부 역량의 이해: SWOT*분석 이용 : ③문제와 관련된 정보의 수집 2)문제의 정의* ▶문제 정의의 절차: 문제의 특성과 현황 파악 → 문제 선정 → 문제 기술서 작성 |
|
|
| 7차시 핵심 키워드 |
|
핵심 키워드 | 해설 |
|
|
먼저 한 주장에 대한 타당성을 제시하지 않고, 비슷한 말로 되풀이해서 주장하는 오류 |
|
|
|
|
Data Rich, Information Poor 데이터는 있으나 유용한 정보가 없는 상태 |
|
|
|
|
|
|
앞으로의 바람직한 모습과 희망하는 모습으로 기업이 발전하고 다른 경쟁 기업과 차별화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함 |
|
|
|
|
기업 외부의 기회와 위협, 기업 내부의 장점과 단점을 정리하여 문제를 발견하는 분석기법 |
|
|
|
|
문제나 상황 또는 기회를 보는 마음의 틀의 의미 |
|
|
|
|
문제의 본질을 명확히 하고 문제의 영향과 심각한 정도를 파악하며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작업 |
|
|
|
■□문제 해결책 모색 단계 1)문제의 분석* 과정 ①문제를 발생시킨 원인을 파악 -확산 과정*과 수렴 과정*을 통해 문제의 원인을 파악 ②문제를 구성하는 변수들과 그 변수들의 성격을 규명 -문제를 구성하는 변수: 의사 결정 변수, 제어 불가능한 변수, 결과 변수, 매개 변수 ③문제를 재구성하여 창의적인 해결책을 계발하는 계기 마련 ④해결책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 설정 ⑤해결책을 도출하는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제약 조건의 종류와 범위 파악 2)해결책의 도출* 과정 ▶해결책을 도출하는 방법: 해결책을 찾는 방식, 해결책을 개발 하는 방식 ▶해결책을 개발 하는 방식 : ①문제 해결 방향 설정: 이상성을 향상, 시스템 요소의 부조화 해결, 통제력과 예측력 증가, 단순화 : ②해결책의 도출 -해결책 도출을 위한 전략: 시행 착오 방법*, 축차적 해결* -해결책 도출 후, 해결책을 적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실패를 줄일 수 있는 방법도 함께 모색 ■□문제 해결책 선택 단계 1)해결책 평가 : 해결책의 결과 예측→불확실성에 대처하는 방안 마련→평가를 통한 해결책의 우선순위 결정→윤리성 검토 2)최선의 해결책 선정 : 해결책의 예상되는 결과를 문제 해결의 목표와 비교하여 가장 적은 비용으로 목표에 가장 부합하는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해결책을 선정 ■□최선의 해결책 실행 단계 : PDCA 사이클*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임 1)최선의 해결책 실행 계획의 수립 및 실행(Plan 및 Do 단계) ▶파일럿 검증 -해결책을 제한된 범위 내에서 시험적으로 실행해보는 활동 -①파일럿 검증 계획→②파일럿 검증의 실행→③파일럿 검증 실행 결과 검토→④파일럿 검증 결과 조치 ▶계획 수립 및 실행: 파일럿 검증을 통해 해결책 효과가 검증 된 뒤, 해결책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함 2)실행 결과 평가 및 조치(Check 및 Action 단계) ▶실행 결과의 평가: 해결책의 실행 후 실행 결과를 평가하여 문제 해결의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확인 ▶평가 후 조치 ▶최종 보고서 작성: P(작성 계획)O(보고서 개요 짜기)W(작성)E(편집)R(재작성)의 5단계로 작성 ■□프로젝트 관리 1)프로젝트 팀 구성: 소규모 프로젝트 팀*, 다기능 팀* 2)프로젝트 진행 단계 ①프로젝트의 선택: 핵심 문제인지를 확인 ②프로젝트 계획 수립: 단계별 할 일 명확화, 팀 구성, 일정 계획 수립(간트 차트 이용), 예산 수립 ③프로젝트 수행 ④프로젝트의 통제 및 평가 ⑤프로젝트 종료: 평가 지표 관리 |
|
|
| 8차시 핵심 키워드 |
|
핵심 키워드 | 해설 |
|
|
해결책의 도출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문제의 원인을 철저히 조사하고 문제 관련 변수들의 성격을 규명하는 작업을 수행하며, 해결책에 대한 평가 기준과 제약 조건을 마련하는 과정 |
|
|
|
|
분석 과정에서 파악된 문제의 성격에 따라 이상성의 증가, 시스템 요소의 부조화 해결, 통제력과 예측력 향상, 단순화 등과 같이 문제 해결 방향에 따라서 다양한 아이디어와 해결책을 도출하는 과정 |
|
|
|
|
문제가 발생한 원인 혹은 문제 해결 목표를 달성하는데 방해가 되는 요소를 모두 파악하는 노력 |
|
|
|
|
수많은 잠재 원인 중에서 참 원인을 검증하는 과정 또는 소수의 핵심 원인을 선별하는 과정 |
|
|
|
|
간단한 전략에서 일단 해결책을 도출하고 즉시 결과를 평가하는 방법 |
|
|
|
|
문제가 너무 어려워 한번에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 산의 정상에 오를 때 구간으로 나누어 쉬면서 오르는 것처럼 목표를 몇 단계로 나누어 해결하는 방법 |
|
|
|
|
동시에 달성할 수 없는 몇 개의 조건을 취사선택하여 균형을 이루는 일 |
|
|
|
|
미국의 품질 전문가 데밍이 강조한 Plan-Do-Check-Action 으로 진행되는 사이클을 말함 |
|
|
|
소규모 프로젝트 팀 (Small Project Team) |
|
|
|
특정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지원하기 위하여 사업 부문 내에 만들어지는 팀 |
|
|
|
다기능 팀 (Cross Functional Team) |
|
|
|
해결해야 할 문제가 기업의 여러 부분이 연관되어 있는 경우 여러 부서의 기능 혹은 구성원들이 참여하여 만들어지는 팀 |
|
|
|
|
|
|
|
|
|
|
|
댓글 없음:
댓글 쓰기